[디지털 기타] GpicSync를 이용하여 Geo Tagging 쉽게 하기
8년 전에 소니의 GPS-CS1KA를 구매하고 한동안 잘 사용하다가 막상 활용할만한 게 많지 않아서 사진의 위치정보라는 건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딱히 문제 될 게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난주에 안드로이드폰에 있는 사진 앱으로 자동 백업을 적용해 봤는데 스토리가 생성되었다는 알림이 왔길래 봤더니 와~ 제가 촬영한 사진들의 메타정보들을 가지고 프레젠테이션(?)을 자동으로 만들어서 보내주었습니다.
이런 또 주제와 다른 길로 샐 뻔했네요. 일단 구글플러스의 스토리에 대한 내용은 다음 기회에 하도록 하고 혹시 알고 싶으신 분들은 구글플러스 스토리 알아보기 <- 요 페이지 읽어보세요.
자 그래서 휴대폰으로 찍은 사진들이야 뭐 문제 될 게 없는데 GPS가 없는 카메라나 GPS가 있어도 잘 쓰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지?라는 고민을 하면서 그냥 수동으로 메타파일을 수정하려는 무식(?)한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SLR클럽에서 안드로이드 구글 위치 기록 + 라이트룸을 이용한 GPS 위치 기록하기라는 강좌 글을 찾았습니다. (SLR클럽 계정이 있으셔야 읽으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폰의 구글 위치 기록 기능과 KML2GPX 사이트 그리고 라이트룸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사진을 일괄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다 좋은데 가장 중요한 라이트룸을 제가 사용하질 않아서 문제더군요. 그래서 GSP위치 기록을 하는 다른 프로그램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검색... 검색... 검색... 한 결과 찾았습니다.
GPicSync 윈도우와 리눅스 맥까지 지원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용 중인 OS에 맞게 선택해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시면 되고 사용법도 아주 쉽습니다. 구글어스와 연동하는 기능도 있는 것 같지만 아주 심플하게 태깅하는 방법만 설명을 드리자면
- GPicSync을 실행한 후
- Pictures folder 버튼을 클릭하여 gps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사진 폴더를 선택한다.
- GPS file 버튼을 클릭하여 변환된 gps 파일을 선택한다.
- Manual UTC offset 버튼을 클릭하여 Asia/Seoul을 선택합니다.
- 그리고 Synchronise ! 버튼을 클릭하면 끝!
이렇게 위치 정보를 얻게 된 사진을 가지고 할 수 있는 게 아주 많을 것 같습니다. ^^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또 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