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버전의 이클립스 Photon과 레드마인을 mylyn을 이용하여 연결하기
요즘 대기업에 파견을 나가서 프로젝트를 하는데 역시나 보안이라는 이름으로 협업을 위한 도구들을 사용하는데 제약이 많네요.
이메일도 못 쓰고 메신저도 못 쓰고.. --;
외부 메일이나 메신저를 못쓰게 하려면 사내 시스템이라도 제공을 해줘야지.
자기들은 사용하면서 외부업체들은 못쓰게 하는 건 무슨 생각인 건지.
모든 보안 사고는 다 외부업체들이 저지른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그럼 자기들이 다 하던가.. --^
아무튼 그래서 레드마인으로 이슈관리와 더불어 파일공유 메신저(?)를 대체하려고 하는데 레드마인의 장점 중 하나가 이슈가 등록되거나 변경사항 발생 시 메일이나 슬랙, 텔레그램 등으로 알림 처리를 해 준다는 건데 아무것도 쓸 수가 없어서 이클립스의 mylyn을 이용해서 알림을 받기 위해 세팅을 하는데 기존의 이클립스 플러그인 설치가 되지 않는 이슈가 발생하네요.
그래서 계속 세팅을 하다가 결국 수동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일단 테스트 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 Redmine 3.3.6.stable
- Eclipse Photon Release (4.8.0)
레드마인과 이클립스를 mylyn으로 연동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드마인에 Mylyn Connector plugin을 먼저 설치해 줘야 합니다.
일반적인(?) 레드마인의 플러그인 설치 방법은 다른 분들의 글을 참고해 주세요.
현재 제가 사용 중인 레드마인은 시놀로지의 DS718+에 패키지로 설치해서 사용 중이라 시놀로지 NAS (DSM 버전 6.2)의 레드마인에 플러그인 설치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DS718+ 에서 사용 중인 레드마인에서의 플러그인 설치방법은 정말 쉽네요.
파일 스테이션을 실행하고 docker > redmine > plugins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한 redmine_mylyn_connector를 업로드합니다.
그리고 패키지 센터를 실행해서 레드마인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
중지 버튼을 클릭 후 다시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레드마인을 재 실행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정말 쉽죠? ^^
레드마인으로 접속 후 플러그인 화면으로 이동해서 Mylyn Connector plugin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자 그럼 절 고생시킨 이클립스의 레드마인 mylyn 플러그인 설치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기존에는 이클립스의 Install New Software 메뉴에서 http://redmin-mylyncon.sourceforge.net/update-site/N/ 주소를 이용해서 설치를 했는데 서버 쪽에 문제가 있는 건지 설치가 되질 않네요.
그래서 찾아낸 방법이 수동 설치입니다.
https://github.com/ljader/redmine-mylyn-plugin/releases/tag/release-0.5.1.201710222219
위 주소로 가셔서 net.sf.redmine_mylyn.p2repository-0.5.1.201710222219.zip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이클립스에서 Help > Install New Software... 를 차례로 클릭하면 위 창을 보실 수 있을 거예요.
여기서 [Add...] 버튼을 클릭합니다.
Add Repository 창에서 [Archive...]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한 net.sf.redmine_mylyn.p2repository-0.5.1.201710222219.zip 파일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활성화된 [Add] 버튼을 클릭하면
Mylyn Connector: Redmine 아이템을 볼 수 있는데요.
전체 선택 후 [Next >]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Next >] 버튼 클릭
I accept the terms of the license agreement (라이선스 동의)를 선택하고 [Finish] 버튼을 클릭.
경고 창이 뜨는데 저는 설치를 해야 하니까 [Install anyway] 버튼을 클릭해서 계속 진행합니다.
그럼 이클립스를 restart 할 거냐고 묻는 창이 나오고 저는 당연히 [Restart Now] 버튼을 클릭하여 재시작을 했어요.
자 그럼 재시작된 이클립스에서 Window > Show View > Task List를 선택하거나 Alt+ Shift+Q, K를 눌러서 Task List 뷰를 실행합니다.
그럼 위 이미지처럼 Task List 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ask List 창에서 위 이미지처럼 Add Repository... 를 선택합니다.
아~ 드디어 repository type에 Redmine이 보이네요. ㅜㅜ
당연히 Redmine을 선택하고 [Next >] 버튼을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각 항목에 레드마인 접속 관련 정보를 입력하고 하단의 붉은 네모로 표시된 [Validate Settings] 버튼을 클릭하여 유효성 검사를 진행합니다.
이상이 없다면 활성화되는 [Finish]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럼 저장소에 대한 작업 목록에 쿼리를 추가하겠냐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일단 [Yes]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냥 [Next >] 버튼 클릭
그럼 이곳에서 어떤 프로젝트의 어떤 상태의 또는 누구에게 할당받는 등 원하는 task에 대한 내용을 조회하고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정이 가능하게 된답니다.
그럼 레드마인 사이트에 접속할 필요 없이 이클립스에서 일감에 대한 처리가 가능해지는 거죠.
와~ 이거 정리하다 보니 너무 길어졌네요.
이렇게까지 자세하게 쓸 생각은 아니었는데 그럼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저 고생했는데 공감 눌러 주실 거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