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마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본문형식인 Textile을 사용할 때의 장점
글 작성자: 담덕01
320x100
반응형
그동안 레드마인을 사용하면서 레드마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본문형식인 Textile나 Markdown을 사용하지 않고 CKEditor 플러그인을 이용했었습니다.
이는 저 역시도 마크업문서에 익숙하지 않았고 협업을 위해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 역시 사용해 본 적 없는 문법을 배워야 하는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한 방법이었죠.
그러나 최근에 개인적으로 시놀로지 NAS인 DS718+에 구축해서 사용중인 레드마인과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사용중인 레드마인에서도 기본 본문형식인 Textile를 사용중인데 글을 작성하는데 굉장히 빠르고 편한 장점들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간단히 소개해 볼까 합니다.
그전에 먼저 마크업 언어와 Textile에 대해 설명하자면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형식을 나타내거나 데이터의 논리적인 구조를 명시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언어
데이터를 기술한 언어라는 점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차이
가장 대표적인 마크업 언어중 하나가 HTML
마크업 언어는 크게 3가지로 구분
-
표현적 마크업문서의 형태를 표현하기 위한 마크업.예) HTML의 style 태그
-
절차적 마크업프로그램이 문서를 처리하는 방법을 서술한 마크업.예) LaTeX <- 이건 나도 뭔지 모르겠다.
-
기술적 마크업문서가 표현하는 내용을 기술하는 데에 사용한다. 표현적 마크업과 절차적 마크업의 요소를 어느 정도는 포함하고 있어 범용적 마크업이라고도 한다.예) HTML, Markdown
※ 출처: 나무위키
Textile = "humane Web text generator" 라는 목적으로 Dean Allen 이 만든 경량의 마크업 언어
Textile 특징
- Redmine과 Ruby 커뮤니티에서 사용
- 다른 경량 마크업 언어 중 HTML과 가장 유사하지만 읽기 쉬운 소스
-
복잡한 짧은 문서 (링크, 중첩 목록, 코드, 사용자 정의 HTML 포함)에 이상적예) 짧은 문서, 매뉴얼, 블로그 또는 CMS 컨텐츠
※ 출처: CODE Examples
로 정리할 수가 있더군요.
그럼 이제 제가 레드마인의 Textile를 사용하면서 느낀 장점에 대해 설명하자면
문법에 대한 기본 설명서 제공
위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Textile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가 레드마인을 배우면서 또 다른 문법을 배워야 한다는 부담감을 없애기 위해서라고 말했는데요.
레드마인의 Textile 에디터 창에서 간단한 문법에 대한 설명서를 제공하고 있더군요.
레드마인의 Textile 에디터의 모습입니다.
기능 버튼이 CKEditor에 비해 간소한데요.
가장 우측에 있는 [?] 버튼이 바로 Textile 문법 사용 설명서를 보여주는 Help 버튼인데 Help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사용법을 팝업창을 통해 설명해 주기 때문에 일감 또는 위키를 작성하면서 필요한 기능들을 그때마다 쉽게 찾아서 적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문법을 몰라도 기본적으로 CKEditor과 같이 기본적인 문법들은 버튼을 통해 제공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쉽게 적용이 가능하더라고요.
그럼 이제 본격적인 장점을 얘기하자면
쉬운 테이블 작성
CKEditor로 테이블을 작성하려면 행과 열을 먼저 정해서 테이블을 그리고 글을 작성하다가 행과 열을 추가하려면 마우스를 이용해 추가할 행이나 열로 커서를 이동하고 행추가 또는 열추가를 해야 하고 테이블의 너비나 높이를 조정해 주는 작업이 필요한데
Textile에서는 위와 같이 행이나 열을 추가하고 글자의 위치 정렬이나 볼드 처리를 모두 입력화면에서 키보드 만으로 가능해서 테이블을 만들고 글을 적는 시간이 크게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 목차 생성 기능 역시 너무 편한 기능인데요.
※ 이미지 출처: www.redmine.org
위 이미지처럼 위키나 게시판에 긴 글을 작성해서 목차를 만들고 싶은 경우에
{{toc}} => 왼쪽 정렬 목차
{{>toc}} => 오른쪽 정렬 목차
위와 같은 문법을 적어주기만 하면 해당 위치에 h1. h2. h3. 로 작성한 제목을 자동으로 목차로 생성해 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 너무 너무 편하고 좋더라고요.
저 같은 경우 레드마인의 위키를 이용해 추가된 플러그인의 사용법이나 프로젝트 관련 문서를 작성해서 관리하는데 전에는 목차 만들 생각은 너무 번거로워서 시도조차 안했는데 Textile에서는 너무 편하고 빠르게 작성이 가능하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코드 하이라이트(Syntax Highlight) 기능인데요.
에디터의 기능 버튼 중 [<>] 코드 하이라이트 버튼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다양한 언어의 하이라이트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보자면 [<>]버튼을 클릭 후 java를 선택하면
<pre><code class="java">
</code></pre>
위와 같은 스크립트가 생성되는데 가운데 공간에 java 소스를 입력하면 코드 하이라이트 처리가 되서 가독성이 좋게 변환을 해주기 때문에 레드마인 내에서 소스에 대한 설명을 작성하거나 할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죠.
익숙해 진다면 [<>] 버튼을 클릭할 필요도 없이 입력란에 바로 class 만 바꿔서 직접 스크립트를 작성하면 더 빠르게 작업이 가능해 집니다.
제가 설명한 내용 말고도 글머리 기호, 번호 매기기 등의 기능도 너무 편하게 사용중인 기본 기능들이죠.
단 이전에 CKEditor을 작성중인 레드마인을 Textile이나 Markdown으로 변경할 경우 기존 작성한 글들이 자동 변환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변환을 하기는 어려울 듯 한데 혹시라도 이제 레드마인을 처음 시작하려는 분들이나 새로 사용하려는 분들은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Textile이나 Markdown으로 사용을 적극 추천합니다.
써보니까 알겠더라고요. 뭐가 좋은지 왜 좋은지.. ^^
728x90
반응형
'레드마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드마인의 문서관리 플러그인인 DMSF의 버전관리 기능을 알아보자 (16) | 2019.02.10 |
---|---|
깃알못의 레드마인과 git 연동하기 (24) | 2019.01.06 |
레드마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본문형식인 Textile을 사용할 때의 장점 (12) | 2018.09.29 |
bitnami Redmine의 plugin 설치는 조금 다르군요. (24) | 2018.08.09 |
최신 버전의 이클립스 Photon과 레드마인을 mylyn을 이용하여 연결하기 (14) | 2018.08.04 |
화면을 넓게 폰트도 크게 사용하는 레드마인 테마 Flatly light redmine 을 소개합니다. (6) | 2018.02.21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레드마인의 문서관리 플러그인인 DMSF의 버전관리 기능을 알아보자
레드마인의 문서관리 플러그인인 DMSF의 버전관리 기능을 알아보자
2019.02.10 -
깃알못의 레드마인과 git 연동하기
깃알못의 레드마인과 git 연동하기
2019.01.06 -
bitnami Redmine의 plugin 설치는 조금 다르군요.
bitnami Redmine의 plugin 설치는 조금 다르군요.
2018.08.09 -
최신 버전의 이클립스 Photon과 레드마인을 mylyn을 이용하여 연결하기
최신 버전의 이클립스 Photon과 레드마인을 mylyn을 이용하여 연결하기
2018.08.04
잘 보고갑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주말 잠시 들렸는데. 컴맹인이라는것이 새삼 느껴지네요.
잘 모르겠지만,,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코드를 입력해줄때는 자동으로 정렬되어서 편할거같네요.
근데 에이트플러스같은 텍스트코딩툴에서도 잘 지원해주는 거라... ㅋㅋㅋ
이클립스나 그런 툴은 ... ㅋㅋㅋㅋ
레드마인 관련글이군요?
아직 해보지 못해서 참고만 하고 갑니다^^
마음 평온한 주말 보내시길 바래요
잘 보고 갑니다
여유롭고 편안한 휴일보내세요.. ^.^
늘 발전하시는 울 담덕님 ㅎㅎ
간만에 보고 싶네요.. 판교 한번 놀러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