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잘 숨어 있는 수제버거집. 청시행을 다녀왔어요.
어제는 정말 특이한 식당을 다녀왔습니다. 목적지 없이 그동안 안 갔던 곳으로 걷다가 문득 눈에 들어온 임실버거 세움 간판이 있었어요. 역시 새로운 파견지를 가게 되면 하나씩 찾게 되는 텐동집과 수제버거집이 있죠. 텐동은 한 곳 찾았고 이제 수제버거집이네요.
그런데 여기 모르는 사람이 찾아가기가 많이 힘들어요. 1층에서 본 임실버거 세움 간판을 보고 건물로 들어갔는데 이 건물이 굉장히 특이합니다. 계단 없고 엘리베이터 없고 그냥 위 두 번째 사진처럼 오르막 길을 걷는 구조입니다. 게다가 한 층 올라갔는데 사무실 있어요. 이상하다 싶어 다시 1층으로 후퇴해서 '장사를 하긴 한다는 거 같은데'라는 생각으로 다시 한번 올라가 봅니다. 그렇게 올라가니까 보이는 또 하나의 세움 간판에 적힌 '청시행'을 봤어요. 루프탑 및 기타 공간이 필요할 땐 문의 주세요!!라고 적힌 세움 간판이 보이네요.
'옥상에 가게가 있는 건가? 일단 올라가자'라는 생각으로 이상한 분위기지만 올라가니 갑자기 다른 분위기가 느껴지고 옥상 나가는 출구 옆에 키오스크가 보입니다. 여기까지 올라온 게 헛걸음은 아니었어요. 키오스크로 주문하고 식당으로 들어가는 게 아닌 옥상으로 나갑니다.
- 청시행
- 방문일: 2022년 08월 17일
- 위치: 서울 중구 을지로11길 14 5층 (우) 04543
와우! 저 이런데 처음 와봐요. 계단을 올라오면서 느껴진 분위기와는 완전 다른, TV에서 보던 핫플레이스 느낌이랄까요? 이제는 날씨가 덜 더워진 건지 거대한 선풍기 옆에 앉아서인지 더운 것도 모르겠고 이런 분위기 좋아요. 경기 촌놈이라 이런 곳 처음입니다. ㅋㅋ
그런데 추천하기에는 좀 애매한 것들이 많네요. 뭔가 관리가 안 되는 느낌이랄까요? 주방 앞에 쓰레기통이 있는데 그게 또 우리 앉은 테이블 뒤란 말이죠. 게다가 오픈 주방인데 관리가 엄청 잘 된다는 느낌도 아니고 거대한 파라솔도 깨끗하지는 않더라고요. 옥상 그러니까 실외라서 그럴 수도 있겠다 싶지만 글쎄요. 가게에 대한 느낌은 여기까지, 그럼 이제 직장인 점심 메뉴를 봐야죠.
우리는 양양버거 둘, 부산버거 둘 그리고 음료를 주문했는데 제가 주문한 건 양양버거로 가격은 단품 9,000원입니다. 처음 만난 양양버거는 거대했어요. 제가 수제버거를 엄청 먹어본 건 아니지만 그래도 파견 다니면서 먹고 리뷰 올린 게 좀 있잖아요. 그런데 청시행의 양양버거가 크기는 가장 크네요.
거대합니다. 세움 간판에 적혀 있는 구성을 옮겨보면 기본(수제 패티, 아메리칸 치즈 2, 할라피뇨) + 베이컨 + 파인애플이라고 되어 있는데 실제로 들어 있는 건 뭐가 더 많이 들어 있어요. 일단 눈에 들어오는 건 예쁜 노란색의 자르지 않은 달걀지단이 있네요. 달걀 프라이가 아닌 이렇게 지단이 들어 있는 햄버거도 처음 봐요.
단면을 보여드리려고 이 거대한 버거를 예쁘게 잘라봤어요. 제가 잘랐지만 참 깨끗하고 이쁘게 잘 잘렸습니다. 역시 이런 건 성격 따라가는 거 같아요. 적혀 있는 설명 외에도 양상추랑 토마토도 들어 있네요. 정말 거대하고 푸짐합니다. 패티의 두께도 어마어마하죠? 을지로 버거는 수제 패티가 2 들어간다고 적혀 있던데 설마 저 두께의 패티가 두 개 들어가는 건 아니겠죠? 나중에 한 번 주문해서 구경해 보고 싶네요. 😁
마지막으로 제가 느낀 맛을 적어볼게요. 푸짐한 만큼 다양한 맛이 느껴집니다. 엄청 두꺼운 패티는 불향이 나면서 부드럽고요. 다양한 맛이 골고루 다 느껴집니다. 아! 들고 먹는 건 불가능해요. 전 그동안 햄버거는 들고 먹어야 된다고 생각을 했고 다 들고 먹었지만 청시행의 양양버거는 들고 먹을 수가 없었어요.
이날 부산버거를 먹은 탐방원이 저한테 물어보더라고요. 이 정도면 잘하는 수제버거인 거냐고요. 본인은 집 근처에 이 정도 버거집이 있으면 자주 배달시켜 먹을 거 같다고요. 저도 수제버거를 잘 아는 건 아니지만 가장 최근 맛있게 먹었던 수제버거집인 자이온과 이렇게 비교해줬어요. "자이온의 수제버거 맛이 비의 근육 느낌이라면 청시행의 양양버거는 마동석 근육 느낌이에요" 저와 함께 자이온과 청시행에서 모두 먹어본 탐방원이 무슨 뜻인지 알겠다고 하던데요. ^^
오늘의 포스트는 여기까지, 재미있게 보셨다면 구독과 ❤️ 클릭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