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담덕이의 탐방일지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담덕이의 탐방일지

* 담덕이가 생각하고 경험하고 체험하는 것들에 대한 담덕이의 주관적인 이야기들. * 연락처 - damduck@damduck01.com

깃알못의 레드마인과 git 연동하기

  • 2019.01.06 05:15
  • 레드마인
글 작성자: 담덕01
320x100
반응형
현재 참여 중인 프로젝트에서도 저는 레드마인을 사용 중인데요.
(예전만큼의 활용도는 아니지만...)

처음에는 형상관리툴로 SVN을 사용 중이었는데 현재는 git으로 툴을 변경하여 사용 중입니다.
그래서 프로젝트 관리용으로 사용 중인 레드마인의 저장소를 git으로 설정을 해 봤는데요.
그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 볼게요.

현재 사용중인 Bitnami 레드마인의 버전은 3.4.6 버전인데
설치할때 이미 git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더라고요.
기본 경로로 설치를 했다면 git의 설치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내PC > 설치디스크(저의 경우 C:) > Bitnami > redmine-3.4.6.0 > git

위 경로로 들어가서 git-bash.exe 또는 git-cmd.exe를 더블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그럼 위와 같이 콘솔 창으로 git이 실행되는데요.
여기서 git 저장소로 사용할 디렉터리를 생성하시고요.
아래 명령어로 저장소를 복제 합니다.

$ git clone {저장소url}

저장소를 추가할 프로젝트의 설정 > 저장소 > 저장소 추가로 이동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형상관리시스템을 Git으로 선택하시고
필수 항목인 저장소 경로를 입력하시고
나머지 항목은 원하시는 대로 입력하신 후 만들기를 클릭하시면

프로젝트의 저장소 메뉴에서 위와 같이 git의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간단하게나마 통계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화면에서 compare 기능 역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 같은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더라고요.

단! git은 svn과는 다르게 서버에 직접 접속해서 확인하는 방식이 아니라
clone 명령어를 이용해 로컬(여기서는 레드마인 서버) 저장소에 복제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방식이라
svn처럼 실시간으로 최신 정보를 가져오는 게 아니라 

$ git pull 명령어로 원격 저장소의 변경 내용을 로컬 저장소로 받아야만 하는데

이 작업을 자동으로 하려면 배치 작업을 해야 하는지 제가 모르는 다른 방법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혹시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에 아시는 분이 있을까요? ^^;
728x90
반응형

'레드마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드마인의 시간대(TimeZone) 설정을 위해 서버 시간을 수정할 필요는 없어요.  (8) 2020.10.11
레드마인의 문서관리 플러그인인 DMSF의 버전관리 기능을 알아보자  (16) 2019.02.10
깃알못의 레드마인과 git 연동하기  (24) 2019.01.06
레드마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본문형식인 Textile을 사용할 때의 장점  (12) 2018.09.29
bitnami Redmine의 plugin 설치는 조금 다르군요.  (24) 2018.08.09
최신 버전의 이클립스 Photon과 레드마인을 mylyn을 이용하여 연결하기  (14) 2018.08.04
bitnami, bitnamiredmine, Clone, Git, IT, Pull, redmine, repository, svn, 레드마인, 비트나미레드마인, 저장소
로그인하고 댓글 쓰러 가기. (∩•̀ω•́)⊃-*⋆

댓글

  1. 노을인 어렵네요.ㅠ.ㅠ

    즐거운 휴이 ㄹ되세요^^

    *저녁노을*
    2019.01.06 05:28 신고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앗! 관련 없으신 분들에게는 어렵죠? ^^

      2019.01.06 11:12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2. 레드마인에 대해 알고 갑니다
    여유롭고 편안한 휴일보내세요.. ^.^

    kangdante
    2019.01.06 08:38 신고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행복한 일요일 되세요.

      2019.01.06 11:12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3. 배치파일이나 Hook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Pull이 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

    Foo
    2019.01.06 16:17 신고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아 역시 배치파일인가요?
      레드마인에서 어떤 옵션이 있는게 아닐까 했네요. ^^

      2019.01.06 17:07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4. 새로운 정보 잘 배워갑니다~ㅎㅎ

    GeniusJW
    2019.01.07 09:56 신고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필요한 정보는 아니시죠? ^^;

      2019.01.07 10:53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5. 레드마인 이거 좋은 것 같네요 ㅎㅎ 근데 처음인지라 저에게도 좀 힘든 것 같아요 ㅎㅎ

    로안씨
    2019.01.07 15:08 신고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자유도가 높아서 쉽게 쓰려면 한없이 쉽게 도 쓸 수 있어요.
      저는 한번 세팅하고 나면 이렇게 좋은게 없더라고요. ^^

      2019.01.07 15:38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6. 저도 몰랐던 내용이네요. 아 이렇게 알아갑니다.

    Deborah
    2019.01.07 21:39 신고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2019.01.07 22:28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7. 저도 몰랐던 정보를 알고 갑니다^_^ ㅎㅎ

    버블프라이스
    2019.01.08 10:59 신고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ㅎㅎ 대중적인 정보는 아니라서...
      굳이 알 필요는 없을 것 같긴 하네요. ^^;;;

      2019.01.08 13:19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8. 뭔가 너무 어려운거 같아요 ;
    GIT가 어디에 쓰는 필요한 확장명인가요???
    어떤건지 어떨때 쓰는 프로그램인지 같이 있다면 좋을텐데...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저는 디자인쪽만 주로 쓰다보니... 컴알못이 되어 버렸네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오늘도 공감꾹~~ 다른것도 꾹 누르고 다녀 갑니다

    Chatterer
    2019.01.08 14:23 신고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ㅋㅋ 굳이 사용할 일이 없을 걸요.
      아무래도 IT쪽 일을 하다보니 쓰게 되는 건데
      형상관리 또는 버전관리라고 해서 문서의 히스토리 관리를 위한 툴이라고 보시면 된답니다. ^^

      2019.01.08 14:25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9. 레드마인 꾸준히 쓰시네요. 담덕님 덕분에 레드마인에 입문한 1인입니당. ㅎㅎ

    삼정
    2019.01.10 22:05 신고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저는 너무 만족스럽게 사용중인 툴이라서요.
      활성화가 안되는게 안타까울정도로... ^^;

      2019.01.11 13:43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10. 많은 도움받았습니다!
    레드마인기능중 위키는 사용안하시나요?
    사용하시면 사용기좀 부탁드릴게요 ~~~!!

    aki
    2019.01.21 15:47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아~ 저는 관련 문서는 모두 위키를 이용해서 관리 중인데요. ^^

      이건 워낙 사용 방법이 다양해서...
      일단 제 경험을 한번 정리 해 보도록 노력 해 보겠습니다. ^^;

      2019.01.21 15:57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11. 많은 도움 받고있습니다!
    https://jistol.github.io/its/2018/01/23/redmine-git/ 에 mirror로 만든 git을 자동으로 update 할 수 있는 방법이 나와있어서 저는 이 방법 사용해 보려구요

    aaa
    2020.07.02 17:11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아~ 역시 배치 작업밖에 없나 보네요. ^^

      2020.07.03 13:07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12. 레드마인+GIT 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저의 상황]
    A컴퓨터(서버)에 레드마인 설치 후, GIT 연동 완료.
    A컴퓨터에서 GIT을 통해 git push하면 데이터가 레드마인에 올라갑니다.
    따라서 A컴퓨터만으로는 레드마인과 GIT 연동이 됩니다.

    문제는 B컴퓨터 C컴퓨터.... 등 다른 컴퓨터를 통한 GIT 입니다.
    B컴퓨터를 통해 레드마인 접속은 됩니다. 192.xxx.xxx.xx:8080/redmine 식으로.
    그런데 B컴퓨터에서는 GIT을 어떻게 연동 시켜야 될지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A컴퓨터에서 레드마인의 저장소 위치를 지정할 때,
    C:\.... 식으로 로컬로 잡혀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github같은 경우 http:github.com/.... 식으로 온라인 형태라 당연히 되었는데,
    다른 컴퓨터(A)의 로컬로 잡혀있는 저장소에 B컴퓨터가 어떻게 연동(어떻게 git remote 설정할 수 있는지)할 수 있는지를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아시는지요? ㅠ

    idealBME
    2020.12.18 12:17
    • 댓글에 댓글 작성하기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 댓글 신고…
    • 이건 레드마인과 git 연동 문제가 아니고 git의 설정 문제 같은데요.
      B나 C 컴퓨터에서 레드마인과 상관 없이 GIT 접속 자체가 지금 안 되고 있는 거 아닌가요?
      GIT의 포트를 개방해서 다른 PC에서 접속을 하게 해 주던가 GitLab 커뮤니티 플랫폼같은 시스템을 설치해서 일단 해당 Git에 다른 PC가 접속을 할 수 있게 해 주셔야 할 거 같은데요. ^^;

      2020.12.20 15:49 신고
      담덕01
      • 댓글 신고…
      • 댓글 편집 또는 삭제
방문자 정보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레드마인의 시간대(TimeZone) 설정을 위해 서버 시간을 수정할 필요는 없어요.

    레드마인의 시간대(TimeZone) 설정을 위해 서버 시간을 수정할 필요는 없어요.

    2020.10.11
  • 레드마인의 문서관리 플러그인인 DMSF의 버전관리 기능을 알아보자

    레드마인의 문서관리 플러그인인 DMSF의 버전관리 기능을 알아보자

    2019.02.10
  • 레드마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본문형식인 Textile을 사용할 때의 장점

    레드마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본문형식인 Textile을 사용할 때의 장점

    2018.09.29
  • bitnami Redmine의 plugin 설치는 조금 다르군요.

    bitnami Redmine의 plugin 설치는 조금 다르군요.

    2018.08.09
다른 글 더 둘러보기
레드마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본문형식인 Textile을 사용할 때의 장점
이 글은 어떠세요?

레드마인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본문형식인 Textile을 사용할 때의 장점

  • 최신
    • 1
    • 2
    • 3
    • 4
    • 5
    • 6
    • 7
    • ···
    • 39
  • 다음

정보

담덕이의 탐방일지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담덕이의 탐방일지

  • 담덕이의 탐방일지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250x250

메뉴

  • 전체보기
  • 안부 남기기

카테고리

  • 전체보기 (1738) N
    • 라이프 (170) N
    • 여행.맛집 (840) N
    • 문화.연예 (77) N
    • IT (473)
    • 레드마인 (39)
    • 빛그림으로 남기는 이야기 (51)
    • 담덕이가 하는 이야기 (88)

댓글

  • 점심으로 삼겹살 먹고 싶으면 진짜 딱이⋯
  • 삽겹살 비주얼 장난 아니네용 ㅎㅎ 오늘⋯
  • 찌개 보글보글한거봐...하...국물이 아⋯
  • 쌀국수에 볶음방인데 구성이 깔끔하고⋯

태그

  • 점심메뉴추천
  • 맛집
  • 평일점심
  • 개봉기
  • 라이프
  • 직장인점심메뉴
  • 담덕이의탐방일지
  • IT
  • 담덕
  • 블로그

정보

담덕01의 담덕이의 탐방일지

담덕이의 탐방일지

담덕01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1,906,565
  • 오늘 389
  • 어제 1,037
반응형
Powered by Tistory / Kakao. © 담덕01.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